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

강원도 정선, 폐허가 된 탄광촌에서 만난 삶 | 정선 탄광촌의 부흥기와 쇠락의 흔적강원도 정선은 한때 국내 최대의 석탄 산지로 손꼽히던 지역이었다. 특히 1970~80년대에는 수많은 광부들이 몰려들며 정선은 ‘검은 황금’이라 불리는 석탄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당시 마을 전체가 탄광의 리듬에 따라 움직였고, 매연과 땀으로 얼룩진 골목은 살아 있는 산업의 현장이었다.하지만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이 시행된 1989년 이후, 국내 대부분의 광산은 문을 닫았다. 정선도 예외는 아니었다. 채산성이 낮은 광산부터 폐광되었고, 주민들은 떠나기 시작했다. 지금은 몇몇 마을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 대부분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황폐한 골조와 먼지 쌓인 시간만이 남아 있다. | 버려진 집과 광산, 그 안의 잔향들정선 폐광촌을 거닐다 보면, 벽이 허물.. 2025. 6. 12.
충주 폐산업단지, 철제 구조물 사이로 본 과거 [ 충주 산업단지의 흥망성쇠 ]한때 충주는 충청북도의 제조업 중심지로 손꼽히며 다양한 산업이 집결한 도시였다. 특히 시멘트, 방직, 금속 가공 등 중소규모 공장들이 몰려들었던 충주 북부 외곽의 산업단지는 수천 명의 노동자들이 매일같이 출퇴근하며 삶을 이어갔던 공간이었다.하지만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고 수도권 집중화가 가속되면서, 충주의 여러 산업단지는 점차 경쟁력을 잃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 IMF 경제위기를 기점으로 다수의 중견기업들이 부도를 맞거나 외지 자본에 흡수되며 이 지역은 빠르게 쇠락했다. 지금은 일부 공장만이 운영 중이며, 대부분은 문이 굳게 닫힌 채, 낡은 철문과 벽돌 잔해만이 남아 당시의 활기를 대신하고 있다. [ 시간에 잠식된 철골 구조물들 ]충주 폐산업단지를 걸으면, 가장 .. 2025. 6. 11.
태백 폐광 마을 탐방 – 사라진 광부들의 흔적 1. 무너진 산업의 상징, 태백의 침묵한때 ‘석탄산업의 중심지’로 불리던 태백은 산업화 시대의 대표적인 에너지 도시였다. 1960~80년대, 전국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태백으로 모여들었고, 산자락 곳곳에는 굴뚝과 광부 숙소가 빼곡히 들어섰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에너지 전환 정책과 해외 석탄 수입 확대는 태백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수많은 광산이 문을 닫았고, 이는 곧 지역의 붕괴를 의미했다.지금의 태백은 과거의 영광이 무색할 정도로 고요하다. 광부들이 거주하던 마을은 인적이 드물고, 일부 지역은 아예 폐허가 되었다. 벽돌이 무너진 숙소, 쓰러진 버스 정류장, 굴착 장비가 방치된 갱도 입구. 이 모든 풍경은 산업화의 그늘, 그리고 한 지역사회가 겪은 변화의 충격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2025. 6. 11.
폐허 탐방의 성지? 파주의 버려진 군 시설 체험기 경기도 파주는 한국 현대사에서 특별한 공간이다. 비무장지대(DMZ)와 인접해 있으며, 한반도의 분단과 군사적 긴장감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지역이다. 이곳에 자리한 몇몇 버려진 군사시설은 과거 냉전의 그림자를 고스란히 품고 있다. 특히 민간인 통제선(민통선) 근처에 위치한 이 군사 유적지는 현재는 출입이 제한되지 않는 곳도 있어, 폐허 탐방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성지’로 불릴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이들 시설은 대부분 1970~8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벙커, 병영, 감시초소, 탄약고, 통신실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높은 콘크리트 장벽과 두꺼운 철문, 위장용 위켄트 장치들이 남아 있어 당시의 군사 전략과 분위기를 실감 나게 전달해준다. 시설의 위치는 산중턱이나 비탈진 곳이 많아, 그 .. 2025. 6. 11.
경기도 광명 ○○광산 – 채굴이 멈춘 땅의 이야기 1. 광산의 태동 – 산업화 시대의 숨은 엔진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광산은 한국 근대화의 전환기에 탄생한 대표적인 금속광산 중 하나로, 산업 발전과 도시 확장의 기반을 다진 핵심 인프라였다. 일제강점기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된 이 광산은 철, 아연, 동 등을 주요 채굴 대상으로 삼았으며, 전쟁과 재건의 시대를 지나며 서울 및 수도권 공업화에 결정적인 자원 공급지 역할을 했다.광산이 본격적으로 활기를 띠던 1950~70년대에는 하루에도 수백 명의 광부가 굴속을 오갔고, 갱도 내 온도 변화와 습기, 위험한 발파작업 등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일자리를 찾아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광명 지역의 초기 인구 증가도 이 광산의 운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다. 산업화의 엔진이었던 이 땅은 그 자체로 대한민국 경제.. 2025. 6. 11.
서울 구○○극장, 무대 위의 침묵 – 문화의 불이 꺼진 자리에서 | 화려했던 조명의 기억 – 구○○극장의 역사서울 중구의 한복판, 쇼핑몰과 프랜차이즈 건물이 빼곡히 들어선 거리의 뒤편. 수십 년 전부터 이 거리를 지켜온 ‘구○○극장’은 한때 국내 연극·공연계에서 손꼽히던 무대 중 하나였다. 1980년대 중반에 개관한 이 극장은 300석 규모의 중형 실내 공연장으로, 연극, 무용, 실험극, 독립영화 상영 등 대중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추구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주목을 받았다.이곳은 당시 대학로를 벗어난 극장문화의 새로운 시도로 각광받았으며, 특히 젊은 창작자와 실험적 연출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무대에 올릴 수 있는 드문 공간이었다. 이 극장에서 데뷔한 신인 연출가들이 이후 대형 무대로 진출한 사례도 여럿 있었다. 관객에게는 도심 속 문화 향유의 공간이자, 창작자에게는 실험.. 2025. 6. 11.